티스토리 뷰
기립성 저혈압이란?
기립성 저혈압은 앉아 있거나 누워 있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.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, 또는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감소할 때 진단됩니다. 이로 인해 어지럼증, 실신, 시야 흐림, 심장 두근거림, 피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원인
- 자율신경계 이상: 파킨슨병,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
- 탈수: 충분한 수분 섭취 부족
- 약물 부작용: 이뇨제, 고혈압약, 항우울제 등
- 심혈관 질환: 심부전, 부정맥 등
- 노화: 노화에 따라 자율신경 반응이 둔화됨
치료 및 관리 방법
1. 비약물적 치료
- 충분한 수분 섭취: 하루 2~2.5리터 이상의 물 섭취
- 소금 섭취 증가: 혈압 유지에 도움이 됨 (의사와 상의 필요)
- 천천히 자세 변경: 일어날 때는 천천히 움직이기
- 압박 스타킹 착용: 혈액이 하체로 몰리는 것을 방지
- 상체 높여 자기: 수면 시 머리를 높이면 혈압 하락 방지
- 작은 식사, 자주: 혈압 변동 감소
2. 약물 치료
- 플루드로코르티손(Fludrocortisone): 혈액량 증가
- 미도드린(Midodrine): 혈관 수축으로 혈압 상승
- 피리도스티그민(Pyridostigmine): 자율신경 기능 조절
※ 약물은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하며, 자가 복용은 위험합니다.
기립성 저혈압에 좋은 음식
1. 수분이 풍부한 음식
- 수박, 오이, 셀러리 등
- 국물 요리: 미소된장국, 닭고기 수프 등
2. 소금이 적당히 들어간 음식
- 김치, 된장국, 소금구이 등
- 스포츠 음료, 저염 소금물 등
3. 비타민 B군 및 마그네슘이 풍부한 음식
- 통곡물(현미, 귀리), 시금치, 바나나, 두부 등
4. 카페인이 적당히 들어간 음료
- 커피나 홍차 등 (단, 과용 금지)

주의할 점
- 탈수 방지: 특히 여름철 수분 섭취 주의
- 과음 및 과식 피하기: 혈압 조절에 불리
- 가벼운 운동 권장: 걷기, 요가 등이 효과적
기립성 저혈압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지만, 생활 습관과 식습관을 잘 조절하고 필요 시 약물 치료를 병행하면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. 가장 중요한 것은 규칙적인 식사와 수분 섭취, 천천히 움직이는 습관, 자가 증상에 대한 꾸준한 모니터링입니다. 증상이 자주 반복되거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.